하얀색의 천을 잘라 장비 안에 넣습니다. <br /> <br />900도가 넘는 열을 가하자 천은 검은색으로 변합니다. <br /> <br />천을 태워 '탄화'시킨 건데, 이렇게 되면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천을 니켈 금속 용액 안에 넣어 전기를 흘려주면 표면에 금속층이 단단하게 결합합니다. <br /> <br />니켈 선보다는 표면적인 넓어 반응이 잘 일어나는 새로운 소재로 탈바꿈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[모정민 /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연구원 : 보통 탄화공정은 2,000℃에서 공정이 이뤄지는데 우리는 그보다 더 낮은 온도인 950℃에서 탄화를 시켰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은 구조로 전기 도금이 가능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렇게 만들어진 소재를 물에 넣어 전기를 흘리자 '기포'가 만들어집니다. <br /> <br />청정에너지인 수소입니다. <br /> <br />반대편, 니켈에 철과 코발트를 추가로 코팅한 소재에서는 산소가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기존 가장 효율이 높았던, 고가의 귀금속 백금으로 만든 전극보다 무려 20배나 많은 수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고윤지 / 고려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 : 특수한 표면 처리를 해 안정적인 금속과의 결합을 유도함에 따라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이 전극은 낮은 전압에서도 수소가 나오고 강한 전압에서도 금속이 떨어지지 않고 2,000시간 이상 유지되는 안정성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[조진한 /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: 비귀금속으로 귀금속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고요, 2,000mA의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이렇게 오랫동안 구동 안정성을 갖춘 것은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습니다.] <br /> <br />값싼 소재를 이용해 안정적으로 수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학회에서 발간하는 Energy & Environment Science에 게재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80116254513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